반응형
안녕하세요.
파이썬을 공부하는
가정의학과 전문의
닥터 배도사입니다.
오늘은 문자열 관련 함수에 대하여
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문자 개수 세기: count
>>>a = "Hello World!" >>>a.count('l') 3 |
a라는 변수에
"Hello World!"라는
문자열을 할당하였습니다.
변수 a에 "l" 이라는 문자가
몇개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
count 함수를 사용합니다.
a 변수 뒤에 .count()를 써주고
() 안에 알고자 하는 문자인
'l' 을 써 주면 됩니다.
>>> a.count('l')
그러면 결과가 3이 나오는 것을
알 수 있습니다.
2. 위치 알려주기: Index
>>> a= "Hello World!" >>> a.index('l') 2 |
a라는 변수에
"Hello World!"라는
문자열을 할당하였습니다.
변수 a에 문자 "l"이 있는 위치를
알아보기 위해서는
index 함수를 사용합니다.
a 변수 뒤에 .index()를 써주고
()안에 위치를 알고자 하는 문자인
'l'을 써줍니다.
0123456789 >>> a= "Hello World!" >>> a.index('l') 2 |
파이썬은 0 부터 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
제일 처음 "l"이 나오는 위치가 2 라는 것을
알 수 있습니다.
따라서 결과가 2가 나오는 것을
알 수 있습니다.
반응형
'Python 기본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구구단 계산기 프로그래밍 (0) | 2021.12.08 |
---|---|
리스트 자료형, 인덱싱, 슬라이싱 (0) | 2021.12.07 |
[파이썬] BMI(체질량 지수) 계산기 프로그래밍 (0) | 2021.12.07 |
파이썬, 소숫점 표현하기 (0) | 2021.12.02 |
문자열 포매팅(Formatting) - 문자열의 특정 값만 선택적으로 바꾸어 출력하기 (0) | 2021.12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