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안녕하세요. 파이썬을 공부하는 가정의학과 전문의 닥터 배입니다.
오늘은 문자열 포매팅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문자열 포매팅이란 문자열 안의 특정한 값을 바꿔야 할 때 사용하는 기법입니다.
다시 말하면 문자열 포매팅이랑 문자열 안에 특정한 값을 삽입하는 방법입니다.
예를 들어 설명하면 쉽습니다.
"나는 사과를 10 개 주문했습니다."
"나는 사과를 8 개 주문했습니다."
"나는 사과를 개 주문했습니다."
위 문자열에서 전체 문장 중 사과의 개수만 바뀐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위 문자열에서 사과의 갯수만 선택적으로 입력해 주는 것을 문자열 포매팅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전체 문장 중 숫자만 선택적으로 대입 : %d
문자열 안에 원하는 숫자(예를 들어 3)를 대입하고 싶은 경우
넣고 싶은 위치에 %d를 삽입하고
문자열이 끝나고 %3 (원하는 숫자) 를 기입하면 된다.
print("나는 사과를 %d개 주문하였습니다." %3)
# 결과
나는 사과를 3개 주문하였습니다.
전체 문장 중 문자만 선택적으로 대입 : %s
문자열 안에 원하는 문자(예를 들어 다섯)를 대입하고 싶은 경우
넣고 싶은 위치에 %s를 삽입하고
문자열이 끝나고 %"다섯" (원하는 문자) 를 기입하면 된다.
print("나는 사과를 %s개 주문하였습니다." %"다섯")
# 결과
나는 사과를 다섯개 주문하였습니다.
2개 이상의 값을 넣을 경우
문자열 안에 원하는 문자나 숫자를 2개 이상 넣고 싶은 경우
넣고 싶은 위치에 %d를 삽입하고
문자열이 끝나고 마지막 %( , )의 형식으로
콤마로 구분하여 각각의 값을 넣어준다.
print("나는 과일 %s를 주문했습니다. %d개 주문하였습니다." %("사과",5))
# 결과
나는 과일 사과를 주문했습니다. 5개 주문하였습니다.
반응형
'Python 기본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BMI(체질량 지수) 계산기 프로그래밍 (0) | 2021.12.07 |
---|---|
파이썬, 소숫점 표현하기 (0) | 2021.12.02 |
숫자형 연산자(2) - 제곱, 나누기 몫과 나머지 반환 (0) | 2021.12.01 |
데이터 중복 제거 : set( ) 함수 이용 (0) | 2021.11.19 |
숫자형 연산자 (0) | 2021.11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