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안녕하세요.
파이썬을 공부하는
가정의학과 전문의
닥터 배도사입니다.
오늘은 리스트 자료형에 대하여
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리스트는 숫자나 문자형 자료의 집합을
담는 자료형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
1,3,5,7,9 라는 숫자를
odd라는 리스트에 담기 위해서는
>>>odd = [1,3,5,7,9] |
와 같이 표현해 주면 됩니다.
정리하면, 리스트는
리스트명 = [ 요소1, 요소2, 요소3, 요소4,...] |
의 형식으로 만들수 있습니다.
다음으로 리스트의
인덱싱과 슬라이싱에 대하여
알아보겠습니다!
1. 리스트의 인덱싱
>>>odd = [1,3,5,7,9] >>>print(odd) >>>[1.3.5.7.9] >>>odd[0] >>>1 |
파이썬에서는 순서가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
리스트 odd의 첫번째 요솟값을
인덱싱하기 위해서는
>>>odd[0]
이라고 명령해 줍니다.
그리면 리스트 odd의 첫번째 요소값인
1이 출력됩니다.
>>>odd = [1,3,5,7,9] >>>odd[-1] >>>9 |
리스트의 제일 마지막 요소를
출력하기 위해서는
>>>odd[-1]
이라고 명령해 줍니다.
[]안에 -1을 넣어주면
리스트의 제일 마지막 요소를
출력합니다.
그러면 리스트 odd의 마지막 요솟값인
9가 출력됩니다.
2. 리스트의 슬라이싱
슬라이싱이란 '나눈다'는 뜻입니다.
리스트 요소들도 슬라이싱을 이용하여
나눌수가 있습니다.
>>>odd = [1,3,5,7,9] >>>odd[0:2] #0부터 (2-1)까지를 슬라이싱 한다. >>>[1.3] |
>>>odd[0:2]
라고 명령을 하면
리스트 0번째 요소 부터
(2-1) 번째 요소까지
출력을 하게 됩니다.
>>>odd = [1,3,5,7,9] >>>a = odd[:2] >>>b = odd[2:] >>>a >>>[1,3] >>>b >>>[5,7,9] |
>>>odd[:2]
라고 명령을 하면
처음부터 (2-1)번째 요소까지를
슬라이싱합니다.
>>>odd[2:]
라고 명령을 하면
리스트 2번째 요소부터 끝까지
슬라이싱을 합니다.
반응형
'Python 기본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\n 사용, 문자열 한 줄 아래로 출력! (0) | 2022.01.28 |
---|---|
[파이썬] 구구단 계산기 프로그래밍 (0) | 2021.12.08 |
문자열 관련 함수 (0) | 2021.12.07 |
[파이썬] BMI(체질량 지수) 계산기 프로그래밍 (0) | 2021.12.07 |
파이썬, 소숫점 표현하기 (0) | 2021.12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