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안녕하세요. 파이썬을 공부하는 가정의학과 전문의 Dr. 배도사입니다.
오늘은 파이썬을 공부하면서 set( ) 이라는 함수를 알게 되었습니다.
어려운 내용은 아닌데 공부한 내용을 기억하고 나중에 찾아보기 위하여 기록에 남깁니다.
set( ) 이라는 함수를 통해 중복된 데이터를 하나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.
a=[1,1,2,2,3,3,4,5,6,6] 라는 리스트가 있습니다.
이 리스트에는 1이 2번, 2가 2번, 3이 2번, 6이 2번 중복되어 있습니다. set( ) 함수는 이렇게 중복되는 데이터를 하나로 정리해 줍니다.
a=[1,1,2,2,3,3,4,5,6,6]
print(a)
print(set(a)) #set(a)를 통해 중복된 요소를 한번만 출력한다.
결과)
[1,1,2,2,3,3,4,5,6,6]
[1,2,3,4,5,6]
리스트 a를 set() 함수로 처리하여 출력하면 중복된 항목이 하나로 정리되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반응형
'Python 기본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문자열 포매팅(Formatting) - 문자열의 특정 값만 선택적으로 바꾸어 출력하기 (0) | 2021.12.02 |
---|---|
숫자형 연산자(2) - 제곱, 나누기 몫과 나머지 반환 (0) | 2021.12.01 |
숫자형 연산자 (0) | 2021.11.15 |
숫자형 자료(정수형, 실수형) (0) | 2021.11.15 |
파이썬 환경 설정 (0) | 2021.07.06 |